
|
이 교재로 개발환경 e2studio와 RA용 FSP(Flexible Software Package)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실습을 할 수 있습니다. 환경 설정부터, C언어 학습, e2studio를 활용한 디버깅 기능 및 FSP기능 사용법까지 전체를 망라하였습니다. 가장 기초적인 내용들을 상세히 학습할 수 있도록 RA입문자용으로 개발된 교재 입니다. 차례 1. ARM과 RA시리즈 1.1. ARM 프로세서 소개 1.1.1. Cortex-M 프로세서 1.2. 르네사스(RENESAS)사의 RA 소개 1.3. 시작하기 전에 1.3.1. 소프트웨어 2. 개발 환경 구축하기 2.1. RA 개발환경의 기본구성도 2.2. 소스 작성 및 컴파일 2.3. 타겟 시스템에 프로그램 업로드하기 2.4. 디버깅 2.5. 설치 2.5.1. 개발 도구 선택하기 2.5.2. 디버깅 장비 선택하기 2.5.3. Windows에서 개발 환경 구축하기 2.6. Hello World! 프로젝트 2.6.1. 프로젝트 생성 2.6.2. E2 Lite 연결 3. 개발환경 3.1. e2 studio IDE 3.2. FSP(Flexible Software Package) 3.2.1. Summary 3.2.2. BSP(Board Support Package) 3.2.3. Clocks 3.2.4. Pins 3.2.5. Interrupts 3.2.6. Event Links 3.2.7. Stacks 3.2.8. Components 3.3. 프로젝트 구조 3.4. 특수기능 3.4.1. 함수 자동완성 3.4.2. 함수 정보 3.5. 디버깅 3.5.1. 개요 3.5.2. 버그의 원인 3.5.3. 버그를 잡는 방법 3.5.4.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3.5.5. 디버깅 조작 버튼 3.5.6. 중단점(BreakPoint) 3.5.7. 변수창(Variables) 3.5.8. 표현식창(__EXPRESSION__s) 3.5.9. IO 레지스터창 3.5.10. Memory사용량(Memory usage) 3.5.11. Memory탐색창(Memory browser) 3.5.12. 디스어셈블리(Disassembly) 4. GPIO입출력 4.1. 회로도 4.2. 핀맵 4.3. Active Low / Active High 4.3.1. Input 4.4. FSP 설정(RM-RA4M3-EVB의 경우) 4.5. 레지스터 4.5.1. PmnPFS 4.5.2. PCNTR1 4.5.3. PCNTR2 4.5.4. PCNTR3 4.6. GPIO제어 함수 4.7. 소스코드 5. 외부 인터럽트 5.1. 인터럽트 5.2. 인터럽트 트리거 5.3. 회로도 5.4. 핀맵 5.5. FSP 설정 5.6. 레지스터 5.6.1. IELSR 5.6.2. IRQCRi 5.7. 인터럽트 제어 함수 5.8. 소스코드 5.9. unused warning을 무시하는 방법 5.10. 소스코드 2 6. FND(7-Segment) 6.1. 7-Segment 6.2. 4자리 FND 6.3. Common(공통)단자 6.4. 4자리 7-세그먼트의 제어 6.5. 표시가능문자 6.6. 회로도 6.7. 핀맵 6.8. FSP설정 6.9. 소스코드 6.10. ASCII코드를 이용한 표시방법 6.11. 소스코드 2 7. AGT(Asynchronous Gereral Timer) 7.1. 개요 7.2. 산술 Overflow와 Underflow 7.3. 핀맵 7.4. 타이머 7.5. FSP설정 7.6. 소스코드 8. GPT(General PWM Timer) 8.1. PWM 8.2. DC모터 8.2.1. L293D 모터 드라이버 8.2.2. 회로도 8.2.3. 핀맵 8.2.4. FSP설정 8.2.5. 소스코드 8.3. Servo 모터 8.3.1. 전원 8.3.2. 회로도 8.3.3. 핀맵 8.3.4. FSP설정 8.3.5. 소스코드 9. TLCD(Text LCD) 9.1. LCD(Liquid Crystal Display) 9.2. Text LCD 9.3. 회로도 9.4. 핀맵 9.5. 명령어 테이블 9.5.1. 화면 지우기(Clear Display) 9.5.2. 커서 리턴 홈(Return Home) 9.5.3. 엔트리 모드 셋(Entry Mode Set) 9.5.4. 표시 On/Off 제어 (Display On/Off Control) 9.5.5. 커서, 화면 시프트 (Cursor or Display Shift) 9.5.6. 기능 셋 (Function Set) 9.5.7. CCGRAM 어드레스 설정(Set CCGRAM Address) 9.5.8. DDRAM 어드레스 설정 (Set DDRAM Address) 9.5.9. 비지체크와 어드레스 (Read Busy Flag and Address) 9.5.10. 데이터 쓰기 (Write Data to CGRAM or DDRAM) 9.5.11. 데이터 읽기 (Read Data from CGRAM or DDRAM) 9.6. FSP설정 9.7. 소스코드 9.8. 소스코드 예시 9.8.1. 텍스트LCD를 초기 설정하는 방법 9.8.2. IO제어 함수 9.8.3. Data_Write함수 9.8.4. Instruction_Command함수 9.8.5. Init_LCD함수 9.8.6. Move_Cursor 함수 9.8.7. Clear_Display 함수 9.8.8. Return_Home 함수 9.8.9. Disp_onoff 함수 9.8.10. Function_Set함수 9.8.11. Write_String함수 9.8.12. Print_Line 함수 9.8.13. Shift관련 #define 9.8.14. Shift_All 함수 9.8.15. Shift_Cursor 함수 9.8.16. 텍스트LCD에 글자를 표시하는 방법 10. GLCD(Graphic LCD) 10.1. Graphic LCD 10.2. 그래픽LCD의 신호체계 10.3. 그래픽 LCD 읽기/쓰기 타이밍도 10.4. 명령어 10.4.1. 화면 켜기/끄기 10.4.2. 주소 설정 10.4.3. 페이지 설정 (X 주소) 10.4.4. 디스플레이 시작 줄 설정 10.4.5. 상태 읽기 10.4.6. 데이터 값 쓰기 10.4.7. RAM에서 값 읽기 10.5. 회로도 10.6. 핀맵 10.6.1. RM-RA4M3-EVB 멀티플렉서 제어스위치 10.7. FSP설정 10.8. 소스코드 11.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11.1. 센서 11.2. 가변저항(Potentiometer) 11.3. 온도센서 11.4. 조도센서(CdS) 11.5. 회로도 11.6. 핀맵 11.7. FSP설정 11.8. 소스코드 12.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12.1. 음원 가공 12.2. 회로도 12.3. 핀맵 12.4. FSP설정 12.5. 소스코드 13. 시리얼 통신 13.1. 직렬통신과 병렬통신 13.2. UART 13.3. SCI(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13.4. UART 시리얼 통신 13.4.1. 회로도 13.4.2. 핀맵 13.4.3. FSP 설정 13.4.4. 소스코드 13.5. SCI레지스터 13.6. I2C & Simple I2C 13.6.1. I2C(Inter-Intergrated Circuit) 13.6.2. Simple I2C 13.6.3. 회로도 13.6.4. 핀맵 13.6.5. FSP설정 13.6.6. 소스코드 13.7. SPI & Simple SPI 13.7.1.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13.7.2. Simple SPI 13.7.3. 회로도 13.7.4. 핀맵 13.7.5. FSP 설정 13.7.6. 소스코드 14. CTSU 터치 14.1. CTSU(Capacitive Touch Sensing Unit) 14.2. 터치모듈 14.3. 회로도 14.4. 핀맵 14.5. QE For Capacitive Touch 14.6. FSP설정 14.7. 소스코드 15. SerialFlash제어 15.1. 시리얼 플래시 15.2. SQI 15.3. 회로도 15.4. 핀맵 15.4.1. RM-RA4M3-EVB 멀티플렉서 제어스위치 15.4.2. RM-RA6M3-EVB 멀티플렉서 제어스위치 15.5. FSP설정 15.6. 소스코드 16. SD Card 제어 16.1. 회로도 16.2. 핀맵 16.2.1. RM-RA6M3-EVB 멀티플렉서 제어스위치 16.3. FSP설정 16.4. 소스코드 17. TFT LCD 제어 17.1. 회로도 17.2. 핀맵 17.3. AppWizard 다운로드 17.4. FSP설정 17.5. 소스코드 18. USB통신 18.1. 개요 18.2. 회로도 18.3. 핀맵 18.4. FSP설정 18.5. 소스코드 18.5.1. Descriptor(설명자) 18.5.2. 소스 동작 19. 이더넷 통신 19.1. 이더넷(Ethernet) 19.2. 회로도 19.3. 핀맵 19.4. FSP설정 19.5. 관련 레지스터 19.5.1. ECMR 19.5.2. RFLR 19.5.3. ECSR 19.5.4. ECSIPR 19.5.5. PIR 19.5.6. PSR 19.5.7. RDMLR 19.5.8. IPGR 19.5.9. APR 19.5.10. MPR 19.5.11. RFCF 19.5.12. TPAUSER 19.5.13. TPAUSECR 19.5.14. BCFRR 19.5.15. MAHR 19.5.16. MALR 19.5.17. TROCR 19.5.18. CDCR 19.5.19. LCCR 19.5.20. CNDCR 19.5.21. CEFCR 19.5.22. FRECR 19.5.23. TSFRCR 19.5.24. TLFRCR 19.5.25. RFCR 19.5.26. MAFCR 19.6. 소스코드 20. TrustZone 20.1. 개요 20.2. TrustZone 보안영역 20.3. 지적재산권(IP) 보호 20.4. Device Lifecycle Management 20.5. Non-Secure Callable 20.6. 보안프로젝트 생성 20.7. 비보안프로젝트 생성 20.8. FSP설정 20.8.1. 보안프로젝트 설정 20.8.2. 비보안프로젝트 설정 20.9. 소스코드 20.9.1. 보안프로젝트 20.9.2. 비보안프로젝트 20.10. TrustZone 디버깅 시 주의사항 21. 사용한 자료 21.1. 사진 편집용 아이콘이미지 21.2. 참조사진 21.3. 참조문서
|